👣 Reference
👣 개요
Amazon의 자회사인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Twitch의
2024년 02월 27일부로 대한민국에서의 사업 철수.
Twitch CEO인 Dan Clancy에 의하면, 트위치 사업 철수의 주된 원인은
대한민국의 높은 망 이용료라고 입장을 표명했다.
Twitch는 정확히 망 이용료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지만 대신증권 리서치에 따르면
이미 연 500억 가량의 망 사용료를 납부하고 있었고
2022년 10월 기준으로 900억에 가까운 트래픽 비용을 지불했을 것으로 예측했다.
Twitch는 서비스 존속을 위해 송출 화질을 720p로 제한하는 조치를 통해 뷰어쉽 절감을 노렸고
추가적으로 VOD 서비스 종료, Clip 기능 제한 등등으로 서비스 품질을 낮춰봤으나
역시나 망 이용료 절감이 어려워 끝내 사업 철수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 동종업체인 '아프리카'의 경우, 해당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P2P 기반 그리드 망 솔루션'을 사용해 망사용료를 크게 줄이고 있었다.
하지만 해당 방식은 보안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컴퓨터자원을 동원해야 한다는 점과
심지어 크래킹에 악용될 위헙성이 있어서 IT업계에서는 선호하지 않는 방식이다.
👣 망 사용료란?
망 사용료 자체는 '회선을 사용한 만큼 발생한 트래픽에 따른 요금'이라는 뜻이지만
사람들은 망 접속료와 망 사용료를 혼동해서 사용하고 있음을 어느 정도 감안해야 한다.
인터넷은 서로 필요에 의해 서로 연결된 공유 자산이지, 특정한 누군가가 소유한 사유 자산이
아니기에 전세계 인터넷 환경의 불문율로서 '망 접속료'에 대해서만 청구하고
'망 이용료'에 대해 청구하지 않는다.
물론 불문율이라고는 하지만 통신사 측에서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여지기에 다소
부당하다고 느낄 부분은 존재한다.
우선 위 경우에 대해 이해하려면, 통신사 사이의 역학을 이해해야 한다.
인터넷은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기 때문에 요청과 응답이라는 트래픽이 존재한다.
이 때, 요청은 주로 서비스 이용자 측에서 발생하고
응답은 서버 측에서 발생한다.
중간의 복잡한 이야기는 거두절미하고 핵심만 서술하면
요청을 보내는 쪽 회선망에서 응답을 주는 쪽의 회선망으로 통신비를 지불해야 한다.
예를 들어, Twitch 서버가 북미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고
한국 소비자들의 컴퓨터가 KT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으면
KT는 북미 통신업체에게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를 선점하게 된다.
위 상황은 곧 차후의 북미 통신사와의 계약금 조정이 일어날 수도 있기에
다음 계약금이 매우 늘어날 수도 있다.
유튜브의 경우, 한국인들은 주로 한국인만 소비한다는 것에 착안해
캐시 서버를 한국 내에 설치해 굳이 트래픽이 미국 서버로 향하지 않게
조치를 취해 위와 같은 상황에서 다소 자유로웠다. 하지만 트위치는 그렇지 못한 상황이었다.
통신 3사는 2016년에 개정된 법 규정인 '상호접속고시'를 근거로 트위치 측에 망 사용료를 뜯고 있다.
'상호접속고시'는 기존에 요청을 보내는 쪽이 아닌 데이터를 전달해주는 서버 측에서
사용료를 내야 한다는 쉽게 말해 인터넷 종량제라고 보면 된다.
때문에 사용자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막대한 요금을 통신사에 지불해야 했던 Twitch는
끝내 사업 철수를 하게 된다.
👣 그리드 컴퓨팅이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처리 & 공유하며
마치 하나의 컴퓨터로 작동하게 만드는 병렬 분산 시스템의 한 종류이다.
쉽게 말해 다른 사람의 컴퓨터를 나의 연산을 위해 사용한다는 것이다.
보통 이 기법은 컴퓨터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지만
망 사용료를 줄이기 위한 방침으로 사용하는 경우,
미디어 서버의 데이터 전달량을 줄인다는 점에서 이점을 볼 수 있다.
간단한 원리는 아래와 같다.
1. 사용자 A가 '동영상 1~6초 가량의 파일'을 '미디어 서버'로부터 다운받는다.
2. 사용자 A는 영상 파일을 재생함으로서 소비하더라도 해당 파일을 삭제하지 않고 저장해둔다.
3. 사용자 B는 '동영상 1~6초 가량의 파일'을 '미디어 서버'가 아닌 '사용자 A 컴퓨터'에서 다운받는다.
4. 사용자 B는 영상 파일을 재생함으로서 소비하더라도 해당 파일을 삭제하지 않고 저장해둔다.
5. 사용자 C는 '동영상 1~6초 가량의 파일'을 '미디어 서버'가 아닌 '사용자 A 컴퓨터'와 '사용자 B 컴퓨터'에서 다운받는다.
6. 사용자 C는 영상 파일을 재생함으로서 소비하더라도 해당 파일을 삭제하지 않고 저장해둔다.
위 방법을 통해 '미디어 서버'가 데이터를 직접 전달하지 않아도 알아서 서로 공유하기 때문에
접속량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 즉, 망 사용료가 줄어들 수가 있다.
'Tech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gle의 Gemini 서비스 공개 (0) | 2023.12.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