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 계층에서의 기기
- 애플리케이션 계층
L7 스위치 - 인터넷 계층
라우터, L3 스위치 - 데이터 링크 계층
L2 스위치, 브리지 - 물리 계층
NIC, 리피터, AP
👣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의 기기
👣 L7 스위치
로드 밸런서로 불리며, 서버의 부하를 분산시키는 기기.
단순히 트래픽을 분산시키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각 서버의 헬스 체크를 하며 분산을 한다.
L4 스위치와 달리 IP, 포트뿐만 아니라 URL, 쿠키, HTTP 헤더 등등으로 분산 전략을 선택한다.
👣 인터넷 계층에서의 기기
👣 L3 스위치
라우터라고 불려도 되지만 특히나 하드웨어 기반으로 라우팅하는 장치를 L3 스위치라고 한다.
L2 스위치 | L3 스위치 | |
참조 테이블 | MAC 주소 테이블 | 라우팅 테이블 |
잠조 PDU | 이더넷 프레임 | IP 패킷 |
참조 주소 | MAC 주소 | IP 주소 |
👣 라우터
여러 네트워크를 연결, 구분하는 역할을 하며,
다른 네트워크끼리의 통신 시, 최소 경로로 패킷을 포워딩시킨다.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기기
👣 L2 스위치
MAC 주소를 기반으로 스위칭을 하는 기기.
목적지가 MAC 주소 테이블에 없으면 상위 포트로 전달함.
👣 브리지
2 개의 LAN이 접속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기기.
MAC 주소 테이블로 관리됨.
스위치는 여러 net을 관리하는 반면 브리지는 2개의 net만 중계한다.
👣 물리 계층에서의 기기
👣 NIC
LAN 카드. 컴퓨터 내에 설치되는 확장 카드.
해당 기기마다 MAC 주소가 부여된다.
👣 리피터
약해진 신호를 증폭시켜준다.
👣 AP
패킷을 복사하는 기기.
와이파이가 이에 해당한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0) | 2023.07.21 |
---|---|
IP (0) | 2023.07.21 |
TCP/IP 4 계층 (0) | 2023.07.20 |
네트워크 성능 분석 (0) | 2023.07.20 |
네트워크 분류 (0) | 2023.07.20 |